본문 바로가기

특허내는 스티브준스 영어

"I like it." 한문장으로 알아보는 쉬운 영어발음 교정

반응형

한국어로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분명히 뭔가가 어렵다는 것을 느낄 수 있으셨을 겁니다. 그런데 왜 일까요?

그런 이론을 실제 "I like it." 한 문장을 콩글리쉬에서 원어민으로 내 발음이 변해가는 것을 체크하면서 공부해보는 신선한 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그럼 스티브쌤과 함께 고우고우~~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한국어과 영어는 조음점이 다른데 그에 따라 조음점을 만드는 "입술,혀,턱,성대"를 사용하는 근육이 다르기에 평소 사용하지 않는 굳은 근육을 써야 한국인들은 미국인의 발음을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최대한 쉽게 조음점을 설명드리자면, 모든 소리는 좁은 곳을 통과하면 높은 음이 나고, 넓은 곳을 통과하면 낮은 음이 생깁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성대를 사용하는 이유인데 한국어보다 영어가 성대조임의 소리가 더 많습니다.

그리고 입술은 영어가 한국어 보다 상하좌우로 움직임이 더 크고, 혀는 더욱 현련하게 움직이며, 턱도 다이나믹하게 움직여 줘야 합니다. 이에 비해 한국어는 입술,턱을 전혀 움직이지 않고 말해도 말을 할 수 있는 언어기에 영어에 익숙치 않은 것입니다. 그럼 바로 발음교정에 들어 가도록 하겠습니다.

"I like it. vs 나는 그것을 좋아해."

<이거 지금 발음을 해 보겠습니다.~~ 잘 되시나요?>

먼저 입술,혀,턱,성대 중에서 성대를 잡도록 하겠습니다.

이 영어와 한국어중 어느 것이 성대조임이 많나요? 둘 중에 영어문장이 더욱 성대조임이 많습니다. 왜냐면 k 발음이 목구멍 깊은 곳에서 성대를 좁혀주면서 나는 소리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또 한가지 말씀을 드리자면, k 발음은 우리나라말로 구지 적자면 'ㅋ' 까지만 해당하고 '크'는 죽었다 깨어나도 될 수 없습니다. '크'는 'ㅋ'이라는 자음에 '으'라는 모음이 합쳐진 한국말인데, 영어는 자음과 모음을 따로 한번씩 정확히 발음을 순차적으로 해주기에 위의 두 문장이 전혀 다르게 들리는 것입니다. 그래서 다시 들리는 대로 써보면,,,

"아이 라이ㅋ 이ㅌ vs 아이 라이크 이트"     

그런데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한국말하고는 달리 영어는 연음이 들어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라이ㅋ 잍" 라는 부분이 서로 붙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자음 'ㅋ'이 된소리인 'ㄲ'으로 변하게 됩니다.

그래서 "라이 낕"이 됩니다. (이렇게 말하는 순간 성대를 더 조이게 되어서 사실 완전히 한국발음으로 읽을때와는 다른 음으로 들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위의 문장을 다시 들리는대로 써보면..

"아이 라이 낕 vs 아이 라이크 이트"

이 됩니다.

그래서 결론은......

영어를 말하실때 like, made, taste 를 라이ㅋ, 메이ㄷ, 테이스ㅌ 처럼 읽으시면 되겠습니다.

참고 : 여기서 혹시 어떤 분은 like, made, taste 이 단어들 뒤에 붙는 e 는 모음이라 발음하지 않나요? 물어볼 수 있을 거 같은데요, 매직e로 그냥 알아 두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기존의 like를 예로 들면, 원래 단모음 i는 '이'로 발음이 나지만, lim, win, bin 처럼요. 하지만 여기에 맨뒤 e 가 붙으면 lime(라임),wine(와인), bine(바인) 처럼 장모음 '아이'로 발음납니다. 즉 i 라는 알파벳 이름대로 '아이'라고 발음이 나는 것이죠. 쉽죠?

그럼 마지막으로 L 발음을 교정하면서 입술,혀,턱의 위치를 짚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좀 어렵게 느껴지시지요? 그래서 제가 유튜브로 강의를 찍어서 올렸습니다. 

최대한 쉽게 설명했으니 유튜브 강의를 먼저 참고하시고 아래 읽어 주시면 서로간에 보완이 될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Vhd4P4dNIA  (<-클릭)

이제껏 발음을 해도 약간  L 발음이 한국어와 영어발음이 좀 다른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이것은 조음점(음이 만들어 지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콩글리쉬로 L 을 발음을 하게 되면 보통 'ㄹ'발음을 하기 쉬운데 그때의 혀의 위치는 혀 천장 중앙이 되겠습니다.

하지만 영어는 윗니 바로 뒤에 혀가 위치하기에 좀 더 앞으로 붙여줍니다. 붙여 준 상태에서 '을' 발음을 해주게 되면 그 때 소리가 나가면서 진동을 일으킬때 "영어의 L"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또한 이 영어 L 은 윗니에 붙인 혀를 정확히 붙인 상태에서 떼면서 발음해서 그것을 자음 L 로 인식하는 반면,

한국어의 'ㄹ'은 너무 빨리 붙었다 떨어집니다. 혀가 닿았다가 떨어지는 체류 시간이 영어가 훨씬 길기 때문에 우리가 들을 때 다르게 들리는 거거든요. 

그럼 다시 읽어 보겠습니다.

"아이 을라이 낕 vs 아이 라이크 이트"

거의 '을'발음이 살아있죠. 단 0.00몇초 만이라도 '을'이라는 발음이 생기는 이유는 윗니에서 혀를 붙였다 떼주는 자음으로써의 'L'을 정확히 발음을 영어에서는 해주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한번 더 맨처음 나오는 주어 'I'는 아~이 라고 이중모음입니다. 하지만 빨리 발음하면 '아'만 발음하고 '이'는 생략하게 됩니다. 여기서 조심할 것은 생략은 했지만 아이 라는 이중모음시 입술은 한국어 보다 더 째지고, 턱은 더 벌어지기에 그 근육 패턴은 남아 있습니다. 그래서 입모양은 좀 크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마지막 완성된 문장의 영어를 발음해 보겠습니다.

"아 을라이 낕 vs 아이 라이크 이트"

본래  'I'같은 "아~이" 이중모음은 영어에서 굉장히 철저히 지켜주는 발음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말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생략된  'I'롤 배워보았구요, 

이번에는 L 발음이 들어간 여러 단어들을 연습해 보고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1) I like a lake. 

2) The dog licks a long loud stick.

그리고 L 발음이 단어 뒤에 오면 혀를 윗니에 붙인 상태에서 발음을 마쳐줍니다. 

1) milk 발음을 하실때  mi 를 먼저 발음해 보시고 다음 l 발음으로 윗니 뒤에 혀를 붙인상태로 '을' 해주시고 맨끝에 k발음인 'ㅋ'를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2) help 발음을 하실때도 he를 먼저 발음을 해보신 후 l 발음을 단독적으로 하신후 마지막 p를 'ㅍ' 붙여 주시면 됩니다.

이것을 끊어서 확실히 발음이 되신다면 이번에는 연결해서 발음을 해보시면 됩니다. 


이렇게 해서 오늘 "I like it." 한 문장으로 1) 조음점 만드는 근육이용하는 방법 2) 영어의 '자음과 모음의 확실한 구분'   3)이중모음 사용시 입,턱의 활발한 움직임 4)L 발음이 단어 앞에 올때와 뒤에 올때의 차이점을 배워보았습니다. 

많은 것을 배웠는데, 다음시간에는 오늘 배운 것과 좀 중첩시켜 복습겸 다시  L 발음도 배울 겸 R 발음과 비교해 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